서울거리예술축제는 서울을 대표하는 야외 공연예술 축제입니다. 거리예술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로 구성된 약 30여 개의 예술작품을 서울광장, 청계광장, 무교로 일대에서 선보입니다. 예술이 거리로 나왔던 근원을 탐색하고, 코로나 시기가 끝난 후 다시 축제의 이야기를 원점에서 이야기합니다. 우리의 이야기 속에서 다채로움(variety)을 만나고 다양성(diversity) 속에서 나를 발견할 수 있는 시간, 서울광장과 거리에서 사람과 사람이 맞잡은 손으로 보름달을 만들겠습니다. 수고와 노동을 멈추고 인간이 인간에게 관대해지는 축제의 기원을 만나러 오세요.
서울거리예술축제
기간: 2023.09.29. (금) ~ 2023.10.01. (일)
장소: 서울광장, 청계광장, 무교로 일대
요금: 무료
서울거리예술축제 프로그램
1. 풀문
기간: 09.29(금)
시간: 18:30
장소: 서울광장 (서편무대)
한가위 연휴에 진행하여 축제의 근원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볼 서울거리예술축제 2023이 준비한 특별한 개막공연. 서울거리예술축제 2023의 다채로운 참여 아티스트부터, 서울시 비보이단으로 새롭게 선정된 ‘소울번즈’, 그리고 다양한 장르로 재해석한 경기민요를 통해 전 세계 관객을 사로잡은 ‘이희문 프로젝트 <오방신과>’가 함께하는 개막공연은 광장에 모인 모두의 염원과 충만함을 함께 기원하는 자리가 될 것이다. 서로가 마주하고 손잡는 광장, 예술적인 한가위의 달맞이에 여러분을 초대한다.
2. 니나내나 니나노
기간: 09.30(토), 10.01 (일)
시간: 20:00
장소: 서울광장 (서편무대)
낯선 방문객들이 제각각의 모습을 하고 익숙한 전통악기의 장단에 맞춰 열 지어 춤추며 등장한다. 제각각의 모습에 제각각의 춤을 추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이렇게 달리 추어도 될까 싶다. ‘니나 내나’는 너와 나의 경상도 방언이다. 너, 너희, 나, 우리를 구분하지 않고 각자의 차이를 존중하며 니나 내나 달리 춘다고 큰일 날 것 하나 없는, 함께 춤추고 어울리는 니나노 판을 연다.
3. 교감
기간: 09.30(토), 10.01(일)
시간: 19:00
장소: 서울광장(동편무대)
이제 더 이상 인공지능에 대해 무관심할 수 없는 시대를 맞이했다. AI와 로봇은 4차 산업 시대에 우리가 살고 일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으며, 그 안에는 이점과 위험이 공존한다. 우리는 종종 무생물을 생물처럼 대하며 정서적 교감을 기대한다. 만약 그들이 우리 이야기에 대답할 수 있게 된다면 어떨까. 곧 이런 일이 현실이 되는 날이 머지않았다. 인간과 로봇이 공생하는 것, 그것은 우리에게 달려있으며 우리가 살아남기 위한 최후의 선택이기도 하다.
4. 걸어가는 일상, 걸어가는 역사
기간: 09.30(토), 10.01(일)
시간: 12:00~
장소: 서울광장일대
본 작품은 12:00부터 22:00까지 반복 재생됩니다.
서울광장의 장소적 성격을 고려하여 시청 건물의 역사적 변화와 대중들의 발걸음, 그리고 광장에 흐르는 시간 즉 역사의 관계에 주목하여 영상을 제작하였다. 미디어 스크린을 역사적 현실을 드러내는 벽으로 설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의한 변화, 움직임, 그리고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발걸음의 움직임으로 역사와 인간, 그리고 광장이라는 장소를 하나의 유기적 요소로 표현했다.
5. 순간
기간: 09.30(토), 10.01(일)
장소: 서울광장일대
‘Evanescent‘는 일시성과 덧없음의 개념을 시각적 형태인 거품에 담아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몰입형, 빛, 사운드가 어우러진 순간을 담았다. 이 작품은 세상이 멈추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모든 것이 사라진 코로나19 기간 동안 영감을 받았다. 아틀리에 시수는 일시적인 아름다움의 느낌과 순간을 살아가야 하는 필요성을 거품이라는 아이디어를 통해 전달하려고 노력하였다.
6. 라바이엘로프
기간 및 장소:
9.30.(토) 12:30(서울광장 동편무대), 15:00(무교로 1)
10.1.(일) 12:00(서울광장 동편무대), 15:00(무교로 1)
우리는 저글링에 대한 ‘Erik Åberg’의 정의에서 시작하여 저글링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저글링인 해파리에 대해 살펴본다. 관객과의 '초근접' 상황에서 저글링, 음악, 침묵, 조명, 의상, 농담, 언어의 콜라주. 공개적으로 추상적이지만 아이러니하고 터무니없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라바이엘로프>는 모두 함께 깨지기 쉬운 것을 발견하고, 탐구하고, 관찰하고, 어리석은 농담에 웃는 기쁨을 보여준다.
7. 스크리프
기간: 09.30(토), 10.01(일)
시간: 12:00
장소: 무교로 4
<스크리프>는 땅에 모래 문자로 글을 쓴다. 조작된 작은 구멍 밖으로 모래가 흘러나온다. 아주 천천히 텍스트를 한 글자씩 바닥에 내려놓는다. 기계가 편지를 쓰며 텍스트 작성 부분을 보호한다. 기계가 편지를 완성하면 텍스트의 다음 부분을 계속 진행하며, 행인에게 방금 쓴 텍스트를 공개한다. 쓰인 글은 날씨와 관객의 영향을 받아 천천히 사라진다.
8. 프로젝트 X
기간:
09.30(토) 17:00
10.01(일) 13:30
장소: 청계광장 (이동형)
풍선형 금속느낌의 큐브와 신비한 사람들로 구성된 두 팀이 보드게임의 도시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 우스꽝스럽고 조형적이며 일시적인 경험은 개인 및 집단의 카타르시스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도시 구조를 전복시켜 만남, 대화, 파티를 위한 더 새로운 공간에서 도시 구조를 만들고, 공유하고, 변형시킬 수 있다.